본문 바로가기

따뜻한 희망이 흐르는 교육/쿵쿵쿵 교육이야기

쿵쿵 가슴 뛰게 하는 추억이 감수성을 만든다

쿵쿵 가슴 뛰게 하는 추억이 감수성을 만든다.

 

여름이다. 적당하게 낮 동안 달구어진 밤공기가 상쾌하다. 여름철 밤 공기는 설렘과 조금 낮선 흥분이 있어 좋다. 어둠으로 적당하게 처리된 여백과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집중해서 보아야 하는 집착, 풀벌레 소리들의 자극이 묘한 설렘을 만들어 가는지 모르겠다.

  여름철 소리의 으뜸은 개구리 울음 소리다. ‘켁켁켁울어 되는 청개구리가 소리가 폭풍처럼 왔다가 파도처럼 밀려가기를 반복한다. 그 속에서 크으으륵 크으으륵울려 퍼지는 참개구리 소도 묘한 조화를 이루며 울려 퍼진다. 비가 오는 날이면 멀리서 , -하며 무당개구리 소리가 여름밤을 촉촉하게 만든다. 이런 여름 밤을 좋아하는 이유는 어린 시절 여름 밤에 달빛 아래서 친구들과 함께 놀았던 추억과 그리움도 한 몫을 한다.

  두꺼비 앵산 산오름 축제가 있었다. 개구리 울음 소리에 맞추어서 아이들과 사람들이 웃음 소리를 만들고 노래 소리도 만들었다. 여름 밤 공기 속에 울려 퍼지는 개구리 울음 소리를 듣고 있으면 그 때 아이들이 만들었던 소리들이 생각나고 웃음이 절로 난다.

 

<사진 : 두꺼비앵산 산오름 축제 때 풍등에 담은 소원 날리기 활동 모습>

  두꺼비 앵산 산오름 축제에서 나온 소리들은 몇 가지 측면에서 특별한 점이 있다. 경남권역에서 두꺼비와 양서류를 위한 작은 음악소리가 울러 퍼졌다는 점이다. 이번 활동은 경남양서류네트워크와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지지는 못했다. 관련 단체들이 참여하고 같이 할 수 있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경남양서류네트워크에 소속된 하늘강동아리가 주도가 되어서 운영되었다. 아이들의 관심과 참여로 양서류의 중요성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은 매우 높이 평가 받을 수 있는 점이다. 또한 양서류 보전을 위한 함께하는 활동 방법으로서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두꺼비 앵산 산오름 축제는 아이들에게 소중한 추억으로 자리 잡았다.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서 여름 밤공기를 즐기면서 걷다가 개구리 소리를 듣고서 산오름 축제의 추억을 생각 할지 모른다. 그 때 잡았던 엄마 아빠의 따뜻한 손, 함께 읽었던 시, 같이 불렀던 개구리 왕눈이 노래, 추억의 한 장면을 그리워하지 않을까? 이렇게 한 부분의 경험과 행동들을 통하여 감정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감수성이라고 한다. 환경교육 측면에서는 생태적 감수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진 : 중촌저수리 올챙이 탐사 활동,오비초등학교>

  개인주의가 되고 정서적 감성이 메말라가는 시점에서 인간성 회복을 위하여 감수성은 강조되고 있다.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기본적 요소로서 강조되는 것 또한 감수성이다. 감수성은 창의성을 일깨는 바탕이 되기도 하고 인간이 타고난 감정들을 조절하고 일깨우는 바탕이다. 창의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공통점이 있는데 모두가 감수성이 매우 발달되어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들이 학교 현장에서 생태 환경교육을 강조할 수 밖에 이유들이다.

<사진: 두꺼비 보호를 위하여 현수막을 설치한 하늘강 5기 아이들 모습>

  하지만 학교 현장을 뒤돌아보면 우울하다. 위험하다는 이유로 체험 학습들은 늘 외면 받기 쉽다. 태양 아래서 걷고 땀을 흘려야하는 번거로움 때문인지 관심을 갖는 교사들 또한 너무 드물다. 현장의 체험 학습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관심 또한 늘 아쉽다. 밀려드는 다양한 교육 형태와 방법들로 인하여 환경교육의 모습들은 변형되고 있다. 융합이라는 이름으로 스팀교육이라는 이름들 속에서 본질적 환경교육의 모습들은 왜곡되고 변형되어진 모습들을 만날 때마다 가슴이 아프다.

 

<사진: 두렁두렁 논두렁 걷기와 탐사 활동을 하는 하늘강 5기 오비초등학교>

  기초교육은 어떠한 공간과 시간 속에서 불편하지 않은 속성들이 있다. 그래서 기초 교육인 것이다. 기초와 기본교육이 창의성과 독창성보다 우선시 될 수 없다. 환경교육이란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하고 변할 지라도 아이들이 자연 공간 속에서 자연과 마주하면서 감수성을 키우고 느끼고 발견하는 교육이라는 사실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 스마트 칠판이 스마트 교육이 화려한 시각적 효과로서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 잡을 수 있지만 아이들은 그 시간을 추억하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자연은 여름밤 공기의 묘한 설렘처럼 가슴을 쿵쿵쿵뛰게하는 그리움이 있지만 스마트 교육에는 쿵쿵쿵가슴 뛰는 그리움을 만들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사진 : 중촌저수리 올챙이 탐사 활동하는 오비초 3학년 학생들>

통영거제오늘 신문 2014년 6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