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늘강이야기

(57)
졸업 선물과 만남의 징표 사마귀와의 동거 509일 졸업 선물과 만남의 징표 사마귀와의 동거 509일(2월3일 기록) 2035년 6월 8일, 그 날 우리는 만나기로 했다. 만남의 징표로 아이들과 컵을 만들었다. 만들었던 컵이 완성되어 왔다. 두철샘 정성이 담겨 있는 컵이다. 우리가 만날 날이 새겨져 있고 아이들 이름으로 채워져 있다. 우리 만나는 날 컵을 가져 오기로 했다.... 오늘 컵이 왔다. 각자의 컵을 들고 확인했다. 페북은 기록 대상으로 적절하지 않다. 요사히 심하게 느끼고 있다. 페북자료 일부를 블로그로 옮기는 작업을 했다. 호기심은 전염병 Since1999 하늘강이야기
논은 봄비가 만든 자궁을 품은 어머니 치마자락이다. 논은 봄비가 만든 자궁을 품고 있는 어머니 치마자락이다 Since 1999 호기심은 전염병 쿵쿵쿵 하늘강이야기 송정리 야산 아래 묵은 논이다. 2월 20일에 이곳에 왔었다. 모든 것들은 변한다. 새파랗게 일어났다. 우물질이 자연으로 돌아가는 모습이다. 한달 전만 해도 새까맣게 까만 봄 눈이 돋아났던 곳이다. 까만 봄 눈, 개구리알들은 봄 물따라 모두 우무질을 빠져 나왔다. 새까맣게 올챙이들이 일어 났다. 1.5cm 내외의 올챙이로 성장해 있었다. 나의 눈치를 보면서 북방산개구리가 울었다가 거치기를 반복했다. 짝을 찾지 못한 외로운 목소리다. 한국산개구리 알일까? 조심스럽게 살폈다. 아니다. 늦은 북방산개구리알이다. 작아서 한국산개구리 알 인줄 알았는데 잡아 보니 아니였다. 물이 낮아서 북방새구리 알이 옆..
로드킬 당한 도롱뇽이 알려준 출산 비밀 로드킬 당한 도롱뇽이 알려준 출산 비밀 Since 1999 하늘강이야기 호기심은 전염병 쿵쿵쿵 도롱뇽은 참 어렵다. 봐도 봐도 모르겠다. 만나면 다양한 상상을 하면서 즐기려고 노력할 뿐이다. 다양한 상상력도 어려운 말 앞에서는 멈추고 만다. 도룡뇽을 공부하면서 만난 첫 번째 말이 ‘서구개치열(서구개치)’이라는 단어다. 도롱뇽 위 입속 천장의 치아배열을 의미한다. 자학자습하는 나에게 이 말을 이해하는데 긴 시간이 필요했다. 문제는 ‘서구개치열(서구개치)’이 무엇인가라는 사실을 알고도 계속되었다. 서구개치열을 보기 위해서는 도롱뇽의 입 속을 봐야 하는데 볼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어떻게 서구개치열을 보는지 신통방통할 뿐이었다. 한참 후에 서구개치열(서구개치)을 보는 방법도 알았다. 살아있는 상태로는..
두꺼비 울음 소리와 두꺼비 산란 장면을 목격하다. 3월 1일, 봄 햇살에 물들이 익기 시작했다. 모니터링을 했다. 학교 주변 논을 지나는데 한국산개구리 알덩이가 보였다. 봄이 익고 있다는 반증이다. 논물이 고인 웅덩이도 촘촘히 개구 알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내일 개학하면 아이들과 한국산 개구리 알덩이를 하나를 학교로 전학시켜야겠다. 일부 알들은 봄 볕에 마르기 시작했다. 건조는 개구리 알들에게는 숙명과 같다. 자연의 선택은 냉정하다. 또한 잔인하다. 저수지로 향했다. 발걸음 소리에 누군가 쑥 물속으로 숨었다. 두꺼비다. 주변을 천천히 살펴 보니 두꺼비 알이 보였다. 한마리가 산란을 했다. 암컷 한마리 주번에 여러 수컷이 모여들었던 모양이다. 두꺼비 알은 긴 줄 모양이다. 어떻게 이런 알 덩이를 만들게 되었는지 보면 볼 수록 신기하다. 두꺼비 알 모습 북..
SBS 물은생명이다 '거제도 방송 이야기' 'SBS물은 생명이다'팀 하늘강을 방문하다. 2015년 12월 11일 거제도에서 특별한 국제워크숍이 있었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남방동사리 보호를 위한 국제 워크숍을 환경운동연합과 푸른거제 21과 함께 준비를 했다. 하늘강이 거제도 담수어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활동을 하면서 만들어 낸 작은 성과다. 섬에서 담수어류에 보호에 대한 관심 때문인지 형식이 국제 워크숍이라는 이름 때문인지 언론에서 많은 관심을 보였다. 당일에 'SBS 물은 생명이다' 팀이 촬영을 왔다. KNNSBS와 2번 방송 촬영으로 인연을 맺었다. 이번에는 서울본사 촬영팀이다. KNNSBS 물은 생명이다 팀이 해체 되었다고 들었는데 서울에서는 아직도 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남방동사리 보호 활동을 중심으로 촬영을 했다고 생각했다. 방송..
올챙이 상태로 겨울을 나는 옴개구리올챙이 올챙이 상태로 겨울을 나는 옴개구리올챙이 “선생님 개구리 잡았어요?” 아이 목소리에 신명과 흥분이 전달되었다. 뭘까? 벼 베기가 시작한 논에서 어떤 개구리가 잡혔을까? 아이 손을 보니 청개구리 한 마리가 있다. 가을이 깊어지면서 겨울잠자리를 구해야 하는데 아이들 손에 잡혀서 눈을 똥그랗게 뜨고 있는 모습을 보니 귀엽다. 혹시나 하는 맘으로 청개구리 다리를 살폈다. 청개구리다. 우리나라에는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가 사는데 경남권역에서 아직 수원청개구리를 만나지 못했다. 수원청개구리와의 인연은 내년으로 넘겼다. 10월의 논 풍경 청개구리 올챙이 청개구리 1년생 작년 10월 중순경이다. “선생님 올챙이가 잡았어요?” “아직도 올챙이가 있어요?”라며 올챙이를 잡아 과학실로 가져 왔다. ‘어떤 올챙일까’하고 보니..
사마귀와의 동거 357일째(9월22일) 2035년 6월8일5시20분 쿵쿵쿵 가슴 뛰는 세상 2035년 6월8일 5시 29분 하루 이틀 시간이 쌓여 동거 357째다. 아이들이 뽀뽀하고 껴안을 수도 없다. 볼 때 마다 재롱을 부리는 생물도 아니다. 반대다. 당돌함과 오만함으로 똘똘 뭉쳐 발걸음소리에 놀라 도망가지도 않는다. '뭘 봐'라며 타박하는 눈빛으로 눈 싸움을 하는 당돌한 놈이다. 2035년 6월8일 만남을 약속한 첫날 단체 사진 모습 2014년 10월 1일, 동거 첫 날이다. 과학실 앞 복도에 모기장을 설치하고 넓적배사마귀 암컷 한 마리를 넣었다. 시작은 단순했다. 아이들에게 사마귀를 보여 주고 싶었다. 사마귀 사육활동은 처음이다. 관심이 앙금처럼 쌓여 있었는데 싹이 돋고 만 것이다. 눈에 보이는 변화도 있다. 아이들은 사마귀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냈다. 사마귀를 보면..
제주도의 물길에서 만난 양서류와 잠자리이야기 제주도의 물길에서 만난 개구리들과 잠자리 여름 햇살이 시들기 전에 제주도 좁쌀사마귀와 제주도 물길을 꼭 확인하고 싶었다. 꼼꼼히 준비하는 평상시 모습과는 다르게 무작정 제주도로 갔다. 마치 꾹 눌러 놓았다가 손을 떼면 ‘툭’ 뛰어 오르는 스프링 같은 예고된 돌출행동이다. 도착하자마자 동백동산습시센터로 향했다. 첫 숨을 센터 앞 정자에서 돌렸다. 작은 연못이 정겹고 고왔다. 날아다니는 왕잠자리 심하게 영역다툼을 했다. ‘혹시 남방왕잠자리일까?’ 날아다니는 왕잠자리를 챕질 해 보았다. 남방왕잠자리는 왕잠자리보다 조금 더 몸이 길고 꼬리 반문이 둥근 모습이다. 모두 왕잠자리다. 날고 있던 왕잠자리 수컷이 암컷과 짝짓기에 성공했다. 빙글 저수지를 돌더니 연잎에 앉아서 산란을 했다.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왕잠자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