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늘강이야기

(57)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5. 바똥숲 나무에게 이름이 생겼다. 아이들에게 소나무를 분양했다 Since 1999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이야기 옆반이 이름표를 만들었다. 붓이 아니라 면봉으로 찍어서 표현했다. 꼼꼼함과 정성이 보인다. 색칠을 하는 동안 아이들 맘이 나무에 옮겨졌을까? '한우갈비나무'라는 이름을 보면서 한참 웃었다.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으로 아이들과 올랐다. 오늘은 특별한 날 '자기 나무를 선택하고 이름표를 달아 주는 날'이다. 아이들 맘은 갈대다. 맘이 식었다. 몇 일 간격이 있었기 때문인지, 아이들이 생각보다 싱쿵하지 않다. 집중력도 많이 떨어진다. '호기심의 똥꾸를 찌르는 의식'을 했다. 여기 저기서 자기들 말을 한다. 생각이 하나가 되지 않았다는 메세지다. 아이들이 힘이 빠지면 교사도 힘이 빠진다. 어찌할까? 다른 방법으로 맘을 모울까 고민을 ..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밭 교실1-마음껏 말하고 장난치로 나가는 것이다. 가르치려고 한다면 배울 수 없다 Since 1999 대한민국 생태교육 1번지 하늘강 몇 몇 아이들이 아침부터 날리다. 공주님 몇 몇은 입이 조금 나왔다. 화요일 마다 아이들과 숲에서 공부를 할 생각이다. 명확하지 않지만 ' 무엇을' '어떻게'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나에게 묻고 있다. 새로운 학교에 와서 이 솔숲을 만났다. 처음 머리를 가득채운 것은 이 멋진 곳을 알릴 수 있는 이름을 지어야 겠다는 생각이다. 솔밭이고, 솔바람 소리가 곱고, 옥산산성에서 보면 하트 모양 혹은 엉덩이 모양을 닮았고.. 아이들이 좋아하고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이름을 궁리하다가 1) 호기심의 똥구를 찌른 솔밭(솔숲) 호기심-심장모습 똥구를 찌른 – 신나고 재미있는, 솔밭 혹은 솔숲- 어떤게 맞을지 모르겠어요? 2) 바람의..
두꺼비 통발의 진실 '왜 통발로 들어 갔을까?' 통발의 함정에 빠진 두꺼비 '버려진 통발은 인간의 욕망이다' Since 1999 흔하기에 소중한 생물들의 친구 하늘강이야기 2014년 3월 9일, 한 저수지에서 잔인한 현장을 목격했다. 백 여마리의 두꺼비가 통발안에서 '찍' '찍' '찍' 울고 있었다. 통발을 찢었다. 압사한 두꺼비들도 수십 마리였다. 2014년 3월 9일 대한민국 저수지의 풍경이다. 이 저수지는 2013년 부터 계속 모니터링 했다. 내가 알고 경남 권역에서 가장 두꺼비 산란 밀도가 높은 곳이다. 해마다 두꺼비 알을 보기 위해서 이곳에 간다. 3년 후 2017년 2월 27일 2017년 2월 27일 , 창원mbc '행복찾기 캠페인' 공익방송 녹음을 하고 내려 오는 길에 저수지에 들렸다. 2월과 4월까지 창원이나 진주를 오가면서 시간이 나면..
함께 해요 '양서류 로드킬 공공현수막 퍼모먼스' 당신과 함께 하고 싶습니다. '양서류 로드킬 공공현수막 퍼포먼스' 쿵쿵쿵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이야기 왜 양서류로드킬이 문제인가? 두꺼비와 산개구리에게 봄은 잔인한 계절이다. 봄비의 유혹은 추운 겨울을 이겨낸 두꺼비와 산개구리에게 로드킬의 신호탄이 되었다. 그 책임이 인간에게 있다. 봄철 두꺼비와 산개구리의 로드킬은 생명에 대한 학살이다. 잔인한 학살을 알리고 싶다. 두꺼비는 평균적으로 9000개에서 1만개의 알을 품고 있다. 산개구리는 평균적으로 3000개의 알을 품고 있다. 봄철 양서류의 로드킬은 1만개의 생명과 3천개의 생명이 죽게 되는 잔인한 일이다. 산술적으로 계산해 보았다. 섬진강 주변에서 하루에 198마리의 두꺼비가 로드킬 당했다. 이 중 1/4인 50마리가 암컷이라고 했을 때 450.000..
10년에 만들었던 거제도 긴꼬리투구새우와 양서류 안내 자료 2007년에 만들었던 긴꼬리투구새우와 양서류 가이드북 Since 1999 흔하기에 소중한 생물들의 친구 하늘강 하늘강이 가진 양서류에 대한 관심이 경남양서류네트워크의 씨앗이 되었다. 10년 전의 자료지만 아직도 사진을 볼 때 마다 느낌이 새롭다. 지금의 모습을 뒤 돌아 보면서 반성할 때가 있다. '지금 넌 뭐하고 있니?'라고 나에게 묻는다. 멈추어 서 있지도 않았는데 가끔 뒤로 가고 있는 느낌을 받을 때도 있다. 사진에 오류가 있지만... 그 때는 그것이 최선이었다. 잘못은 바로 잡으면 된다. 이렇게라도 흔적을 남겨 두어야 겠다. 혹시 맘이 쪼글쪼글해 지면 이것을 보고 힘을 내야겠다. 하늘강는 긴꼬리투구새우를 대중들에게 다가 가게 만든 장본인이다. 아이들의 관심에 전문가들이 반응을 했고 환경부가 결국에는..
양서류 로드킬 공공현수막 퍼포먼스 4탄 "생명이 아니라 환경을 없애는 것이다. 양서류 로드킬 공공현수막 퍼포먼스 4탄. " 환경을 없애는 것이다"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이야기 옆반 5학년 20명이 참여를 했다.. 깜찍이 이은주선생님의 관심이 아이들에게 전염되었다. 환경을 없애는 것이다" 라는 말을 보고 깜짝 놀랬다. 맞다. 생명이 없어지는 것이다. 소중한 둘레가 없어지는 것이다. 탁월한 생각이다. 모든 글들이 귀담아 들어야 할 소리다. 쿵쿵쿵 호기심은 전염병
10년 전에 발간된 거제도 잠자리모니터링 보고서 2007 거제도 하늘을 날고 있는 잠자리'10년 전의 2007년 기록, 그리고 2017' Sicne 1999 대한민국 생태교육 1번지 하늘강 "참 찰 참고 견뎠구나" " 최소한 미련스럽게 세월을 보내지 않았구나" 가끔 나에게 내가 하는 말들이다. 그렇게 세월이 갔다. '하늘강'이라는 이름으로 거제도 생태에 대한 3영역에 내용을 기록하고 정리했다. 첫번째가 거제도의 잠자리 모니터링 보고서(2007) , 둘째는 거제도의 양서류(2007)와 긴꼬리투구새우(2005), 세번째가 거제도 민물고기 모니터링 보고서(2009)다. 세월을 털고 보니 모두가 10여 전의 자료다. 털어낸 먼지 위에 새로운 세월이 다시 10년이 쌓였다. 3가지 자료를 볼 때마다 가슴에서 '웅'소리가 난다. 소리의 느낌은 때와 장소에 따라서 다르다. ..
사마귀와의 동거 803일(20161212) 시간에 저항하고 있는 넓적배사마귀 동거 803일(2016년 12월 12일) 겨울에 맞서고 싶은 사마귀의 욕심 Since 1999 대한민국생태교육 1번지 하늘강 11월 30일에 아이들이 넓적배사마귀 알집을 찾아 왔다. 학교 나무 가지 위의 사마귀 알도 아이들이 발견해 냈다. 안 다는 것은 배운다는 것은 무섭다. 아이들이 나에게 늘 이렇게 배운다. 모든 생물들이 세월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다. 순응만이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도 아니다. 순종만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도 아니다. 누군가는 저항하고 또한 상식에 도전한다. 12월 12일, 내일 학생 평가가 있다. 이것저것 준비를 하고 있는데 왕자님이 방문을 했다. " 선생님, 사마귀요?" 왕자님 한 명이 교실로 달려 왔다. "선생님 사마귀요?" 혹시나 하는 생각으로 보니 정말로 사마귀다. 오늘이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