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ince 1999 하늘강이야기/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밭(생태놀이)

(25)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 9. 씨앗과 함께 놀았다.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 씨앗의 소중함을 느끼고 탐구하기 Since 1999 대한민국 생태교육 1번지 하늘강 5월의 바똥솔, 소나무의 사랑들이 깊어 지고 있다. 곳곳에서 소나무의 암꽃이 관찰된다. 근친교배를 피하기 위해서 같은 나무에서 암꽃과 수꽃이 피는 시기가 다르다. 종족 보존의 욕망은 동물이나 식물이나 마찬가지다. 보라색 빛이 노는 꽃이 오리나무 열매와 닮았다. 호기심의 똥꾸를 힘차게 찔렀다. 오늘은 거제에서 활동하시는 생태 선생님들이 오시는 날이다. 아이들 맘이 구름 위 풍선이다. 어떻게 아이들과 행복한 시간을 만들까? '쿵쿵쿵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으로 가면서 심장에서 힘찬 소리가 났다. 활동1. 병충해와 나무 놀이 이 놀이는 아이들과 역동적으로 뛰어 노는 놀이다. 술래잡기 놀이의 변형이다..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8. 솔방울은 씨앗이 아니야 솔방울 씨앗을 본 사람 손들어 보세요 Since 1999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이야기 소나무 숲이다. 250여년의 세월이 만든 작품이다. 소나무는 대표적인 양수림이다. 멈추어 서 있는 것 같지만 숲도 끝임없이 변하고 있다. 시간은 이 숲을 또 다른 숲으로 가꾸고 있다.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에도 이미 참나무가 자리를 잡았다. 몇 몇 참나무는 소나무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2017년 4월,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이라는 새로운 이름 생겼다. 그리고 나무에 새로운 이름이 생겼다. 그냥 소나무가 아니다. 부자나무, 구씨꿈나무 누군가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담은 이름이다. 사마귀도 산으로 갔다. 사마귀 알 부화 사육통을 달아 두었다. 처음 이것은 본 사람은 '뭐지?'라는 물음표를 달고서 다가 올 것이다. 사..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7. 대한민국에 숲을 교실로 만든 학교가 생겼다. 특별한 샘이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에 오셨다 Since 1999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이야기 대한민국에 특별한 학교가 하나 생겼다. 숲과 숲 놀이를 통해서 아이들이 품성을 키우고, 숲을 아이들이 공부하는 교실로 만들어 가꾸고 있다. 거제초등학교 뒷에 약 250에서 150년 소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학교와 등산로 목책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걸어가면 5분 안에 숲 속 품에 안길 수 있는 특별한 학교다. " 이 숲이 학교 땅입니다'라는 말을 듣고 깜짝 놀랬다. 이 솔숲을 아이들과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이라 이름 붙쳤다. 그리고 아이들과 신명나게 놀면서 공부하는 새로운 학교를 만들기 시작했다. 주제 통합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바똥솔 교육을 위한 교육인력들과 네트워크를 구성..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6. 내 나무는 어떻게 생겼을까? '표현은 대단한 용기와 특별한 능력'이 필요하다 Since 1999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이야기 책 한 권과 종이 한 장을 들고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에 올랐다. 아이들과 저번 주에 자기가 선택한 나무를 관찰하고 그림으로 표현하는 훈련을 하기 위해서다. 출발하기 전에 교실에서 '생태화가'라는 활동의 의미를 설명했다. 몇 몇 예시작품을 보여 주었다. " 우와 정말로 초등학교 3학년이 그린것 맞나요?" 아이들이 물음표를 달았다. "생태화가란' 눈으로 본 것을 손으로 표현하는 활동이야" "용기가 필요하지" 용기가 필요하다는 말에 아이들이 웃었다. " 나중에 그림 결과를 보면 알 수 있어. 누가 용기가 필요한지, 누가 참을성이 없는지, 누가 집중력이 있는지" 아이들이 또 웃었다. 설명이 끝나자 아이들이 질..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5. 바똥숲 나무에게 이름이 생겼다. 아이들에게 소나무를 분양했다 Since 1999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이야기 옆반이 이름표를 만들었다. 붓이 아니라 면봉으로 찍어서 표현했다. 꼼꼼함과 정성이 보인다. 색칠을 하는 동안 아이들 맘이 나무에 옮겨졌을까? '한우갈비나무'라는 이름을 보면서 한참 웃었다.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으로 아이들과 올랐다. 오늘은 특별한 날 '자기 나무를 선택하고 이름표를 달아 주는 날'이다. 아이들 맘은 갈대다. 맘이 식었다. 몇 일 간격이 있었기 때문인지, 아이들이 생각보다 싱쿵하지 않다. 집중력도 많이 떨어진다. '호기심의 똥꾸를 찌르는 의식'을 했다. 여기 저기서 자기들 말을 한다. 생각이 하나가 되지 않았다는 메세지다. 아이들이 힘이 빠지면 교사도 힘이 빠진다. 어찌할까? 다른 방법으로 맘을 모울까 고민을 ..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 4. 숲에 마음을 뚝 떼어내 달기 바램을 매다는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 이름표 만들기 Since 1999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이야기 ‘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 아이들 맘을 담는 큰 상을 만들었다. 아이들 맘을 뚝 떼어 내서 솔숲에 던지고 싶다. 큰 상위에 멋진 그릇과 향기로운 반찬을 만들 차례다. 장맛이나 된장 같이 숙성될 수 있는 밑 반찬을 만들고 있다. 반찬은 ' 가고 싶은 맘'이다. 궁리하다가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의 '소나무들을 학생들에게 분양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바·똥·숲에 오면 자기를 기다리는 무엇, 가보고 싶은 곳이 자기 나무가 되면 좋겠다. 바통숲에서 내 나무 정하기 활동이란? ① 학생들이 자기 나무를 선택한다. ② 졸업 할 때 까지 그 나무의 어머니 역할을 한다. ③ 어머니가 된 기념으로 이름을 ..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3. ' 어머니 나무를 찾았어요'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3. '50명과 함께 생태 놀이 하기' Since 1999 대한민국 생태교육 1번지 하늘강이야기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에도 벚꽃이 활짝 피었다. 몇 몇 아이들은 아직도 겨울 옷을 입고 있는데 ‘툭’하고 겨울이 터져버린 날씨다. 오늘은 옆반 아이들과 함께 올랐다. 옆 반이 함께 한다는 생각에 아이들 얼굴에도 웃음이 툭툭 터졌다. 계단을 오르면서 천천히 오늘 활동 내용들을 다시 점검했다. '바통솔'을 지키는 어머니 소나무를 보여 주고 싶다. 50여명의 대군이다. 체험 활동에서 한 교사가 지도 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은 15명이 적당하다. 15명이 넘을 때는 보조 교사가 있어서 전체 활동들을 함께 해야만 교육 효과가 높다. 15명이 넘었다면 체험 학습의 형식을 바꾸어야 한다. 인원 수가..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2 - 자연스럽게 숲과 교감하기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 ' 교감은 웃음과 집중에서 나온다' Since 1999 대한민국 생태교육 1번지 하늘강이야기 비가 왔다. 길이 미끄럽지 않을까 걱정도 했는데,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은 이 생각을 비웃었다. 비가 온 후 더 정갈했다. 2번째 교육, 옥산산성 우물터에 올챙이가 어떻게 자랐는지 볼까 하고 나섰는데 아이들이 늦게 왔다. 그냥 아이들과 바통솔(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숲)에서 간단한 놀이를 했다. 아이들과 놀 때 가장 중요하는 것은 규칙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집중할 수 있다. 규칙은 단순해야한다. 단순한 규칙이 최고의 규칙이다. 긴 말은 참여자나 진행자 모두에게 불리하다. 간단한 규칙, 간단한 수신호와 약속은 놀이에서 꼭 필요하다. 활동1. 바람의 똥꾸를 찌른 솔밭 의식 바..